코백스 퍼실리티

코로나 백신ㅣ코스피ㅣ우체국 상자


전쟁이 시작됐습니다.

세계 각국에서 ‘코로나 백신’ 선점을 위한 전쟁이 시작됐죠.

초기에, 선진국은 ‘백신 개발’에 몰두했는데요. 

최근에는, 미국 제약회사들이 백신 3상 시험에 ‘합격점’이 점쳐지자, 이를 구매하기 위해 치열한 ‘사전구매’ 쟁탈전을 벌이고 있는 겁니다.

미국과 유럽, 일본에서는 수백만명 분량의 백신을 확보했습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확보 중’이라는 것 말고는 뚜렷하게 확보된 백신 물량이 없죠.

이에, 비판 목소리가 나옵니다.

오늘은 이 얘기를 여러분과 해볼 겁니다.



-
우리나라는
왜 안 구할까요.


결론부터 말하면요. 구하고 있긴 합니다.

다국적 협의체인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1,000만명분, 개별 기업 간 협상으로 2,000만명분을 확보할 계획이죠.

총 3,000만명분을 구한다는 겁니다.

여기서 ‘코백스 퍼실리티’는 ‘공동구매를 위한 모임’이라고 보면 됩니다.

백신 구매와 배분을 어떤 국가가 단독으로 움직이지 않고요. 공동으로 대응하기 위해서 만든 국제 프로젝트죠.

코백스 퍼실리티는 ‘선입금’이 원칙입니다.

그래서 정부가 1,000만명분의 백신 구매 비용은 마련해뒀다는 걸 알 수 있죠.

문제는 2,000만명분입니다. 미국의 제약회사 화이자와 모더나 등은 백신을 1개*당 4~37달러로 책정하고 있는데요.

*‘도즈’라고 표기하는 게 올바릅니다.

우리나라는 개별업체 계약을 통한 백신 확보에 850억원을 책정해두고 있습니다.

이는 가장 저렴하다고 알려진 영국 제약회사의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으로만 사야 하는데요. 

아스트라제네카 백신은 1개당 4달러 수준입니다.

그나마, 아스트라제네카에서 2000만명분 백신을 판다고 해도요. 891억원이 듭니다. 

쉽게 말해, 백신 구매를 위해 마련해놓은 돈이 적은 겁니다.

사실, 돈이야 채워 넣으면 그만입니다. 특히, 국가재난상황일 땐, 돈이 중요한 게 아니니 말이죠.

하지만

우리가 알 수 있는 것은요. 정부가 백신 구매에 소극적으로 나서는 태도를 알 수 있죠.

실제, 우리나라의 백신 구매는 매우 더딘 속도를 보입니다.

국제통화기금_IMF에 선정한 10대 선진국에서 유일하게 코로나 백신을 못 챙긴 나라가 ‘대한민국’이죠.

다른 선진국들이 활발하게 백신을 사전 주문하고, 구매 옵션까지 받아둔 상황과 대비되죠.

왜 선진국들은 백신 구매에 쟁탈전을 벌이고 있을까요. 

‘코백스 퍼실리티’가 있는데 말입니다.

여러분. 코백스 퍼실리티는 개발도상국을 위해 만든 국제 프로젝트입니다. 

코백스 퍼실리티는 참여국 인구의 20%에게 먼저 백신 접종하는 게 원칙이죠. 

현재, 우리나라도 코백스 퍼실리티에 참여하고 있는데요.

5,000만 국민인 대한민국의 20%는 1,000만명이죠?

그래서 앞서, 우리나라 정부가 코백스 퍼실리티를 통해 1,000만명분을 확보한다고 했던 겁니다.

어쨌든, 

코백스 퍼실리티에는 156개국이 참여하고 있는데요.

이들 나라의 국민 20%에게 백신을 공급하려면요. 우리나라가 1,000만명분의 백신을 곧바로 확보할 수 있는 것도 아닙니다.

특히, 선입금으로 실탄을 장전해줄 미국, 중국, 러시아, 인도 등은 코백스 퍼실리티에 참여하고 있지도 않죠.

그러니깐, 자국에 충분한 백신 공급을 위해서는 코백스 퍼실리티만으로 부족합니다. 

빨리, 백신 생산 업체에 개별적으로 확보해야 하죠.


-
이게, 
문제 아닐까.


그런데 의아한 것은 ‘정부의 다급함’이 보이지 않습니다.

게다가, 빨리 백신을 확보하지 않은 것이 ‘실수나 잘못’으로 규정하지도 않죠.

왜 그럴까요.

이 답을 ‘월스트리트저널’의 기사를 보면 알 수 있습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코로나 백신, 한국은 가격이 적당할 때까지 기다릴 수 있다고 말한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냈죠.

자세히 보면요.

최근 코로나 확진자가 300명대로 늘어나고 있지만, 미국과 유럽 등에 비하면 큰 문제라고 할 수 없습니다.

비교적, 코로나 확산이 통제되고 있다는 것이죠.

이런 상황에서요. 

코로나 백신이라고 나온 것이 100% 안전하다고 할 수도 없습니다. 

그러니깐, 임상 마지막 단계인 3상을 통과했더라도, 안전성을 보장할 수 없죠. 

왜냐면, 백신 개발과 승인이 ‘속전속결’로 이뤄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흔히, 신약 개발에는 10년이 걸리고요. 임상 3상에서 신약 개발이 중단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데 코로나 백신 개발에는 연구실험을 간소화하는 등으로 약 1~2년만에 백신이 생산되죠.

즉, 백신의 효능 뿐만 아니라, 안정성을 확보하기가 매우 어렵기 때문입니다.

결국, 

우리나라 정부는 서두르지 않고요. 내년 하반기에 코로나 백신 접종을 시작할 계획입니다.

게다가, 백신 공급 초기엔 수요가 많다보니깐, 백신 가격이 비쌉니다.

하지만 시간이 흐린 뒤, 대량 생산 시스템이 갖춰지면요. 비교적 저렴하게 백신을 사올 수 있는 이점도 있죠.



결국, 우리가 알아야 할 점은 이겁니다.

미국과 러시아, 중국, 인도 등을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는 ‘코백스 퍼실리티’ 참여해 백신 공급과 배분을 하고자 한다.

하지만 코백스 퍼실리티의 한계가 있어, 개별 백신 생산 기업과 사전 주문 계약을 맺고 있다.

주요 선진국 중 백신을 확보하지 않은 나라는 대한민국뿐이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코로나 확산을 비교적 통제 가능한데, 굳이 부작용 위험부담을 떠안을 필요는 없다. 그리고 비용절감을 위해, 벌써부터 적극적으로 백신 확보에 나서지 않아도 된다.

이렇게 정리할 수 있겠습니다.

여기서, 백신 확보를 하지 못한 정부의 해명과 설명도 꽤나 설득력 있죠.

하지만 주요 선진국과 대만, 베트남 등에서도 개별적으로 백신 확보에 나서고 있는 시점입니다. 이들 나라도 국민을 상대로 안정성을 도박하지 않을 겁니다.

특히, 임상 3상을 통과하고요. 미국 FDA의 승인을 받으면, 안전하다고 볼 수 있다는 분석도 지배적입니다.

즉, 괜히 망설였다가요. 국내 코로나 확진자가 폭증하고, 이에 따른 사회적 비용이 계속해서 늘어날 우려가 있죠.



| 취준생 집중하기 |

취준생이라면, 반드시 고민하고 알아야 할 게 있습니다.

먼저, 본문에 나온 ‘코백스 퍼실리티’의 개념과 필요성, 문제점을 파악해두시는 게 좋습니다. 그리고 코로나 백신을 둘러싼 ‘국가주의’ 논의도 알면 좋습니다.

코로나 백신 개발 초기, 모두가 ‘공생’을 외쳤지만, 지금은 각국의 이익 실현을 위한 쟁탄전을 벌이고 있습니다. 잘사는 나라들이 백신 확보를 싹쓸이하고 있죠. 

이는 2009년 신종플루 사태에도 비슷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래서 WTO 사무총장은 벌써부터 중재에 나섰습니다. 사무총장은 “각국의 지도자들은 자국민을 먼저 보호해야 한다는 바람이 있지만, 펜데믹 대응은 집단적이어야 한다.”고 말했죠.

하지만 매일 수십만명이 코로나에 확진되고요. 매일 사망자 기록은 사상 최고치를 찍습니다. 이에, 자국의 이익을 우선하는 ‘국가주의’가 도출될 수밖에 없습니다. 

이를 어떻게 해석해야 할까요.

그렇다고 확고한 결론을 섣불리 내지마세요. 합리적 선택을 이끌기 위한 과정과 근거를 탄탄히 마련해두는 걸 추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