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소미아




지소미아 정상화 추진

여기에 담긴 의미

-

한일 지소미아_GSOMIA, 군사정보보호협정



지소미아는 군사 기밀을 공유하는 협정을 말하는데요. 참고로 지소미아는 ‘군사정보보호협정’을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약 30개국과 지소미아를 체결하고 있는데요.


그래서 일본과의 지소미아는 ‘한일 지소미아’라고 말하는 것이 정확합니다. 다만, 현재는 그냥 ‘지소미아’라고 하면요. 한일 군사정보보호협정으로 쓰입니다.


한일 지소미아에 관해서는 설명할 게 많은데, 오늘은 간략하게만 해보죠.


지소미아는 상호주의에 따라, 개별 정보 교환으로 이뤄집니다. “네가 A 주면, 우리도 A 줄게”와 같은 형식입니다. 그런데 우리나라와 일본 사이에는 미국이라는 징검다리가 있어서요.


한일 지소미아에 큰 필요성이 있어 보이지 않았습니다. 그런데 2016년 미국이 주선해서 체결했는데, 한미일 3각 안보 공조를 위해서였죠.


당시, 광복 이후의 최초 한일 군사협정이었는데요. 주로, 북한의 핵과 미사일 도발에 대응하는데 초점이 맞춰져 있습니다. 우리나라보다 일본 입장에서 큰 도움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 있죠.


물론, 우리 입장에서는 일본에서 제공하는 위성과 함정 레이더 정보를 얻을 수 있다는 장점이 있었습니다. 하지만 군 내부에서는 우리의 정보가 일본보다 더 정확하다는 의견이 있습니다.


어쨌든, 문재인 정부에서, 일본의 수출 통제에 맞서 지소미아 종료라는 결정을 내렸습니다. 당시, 한일 관계가 최악으로 이어진 거죠.


왜냐면, 일본은 수출심사우대국(화이트 리스트)에서 우리나라를 제외했는데요. 이는 대한민국이 일본 안보에 우려되는 대상이 된 겁니다.


이유는 우리나라 대법원에서, 일본 전범 기업이 강제 징용 피해자에게 배상하라고 판단했는데요. 우리나라가 국내에 있는 일본 기업의 자산을 압류하려고 하자, 일본이 펄쩍펄쩍 뛰었던 겁니다.


일본은 이미 1965년 한일 청구권 협정과 2015년 일본군 ‘위안부’ 합의로 해결된 사안이라고 했죠. 그래서 강제 징용 배상 문제와 수출 규제를 연계해 실력 행사에 나선 겁니다.


그러자, 우리나라는 안보 문제를 꺼내는 나라와 민감한 군사정보를 공유할 수 없다며, 불편함 심기를 숨기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우리는 큰 타격이 없다며 한일 지소미아를 종료하겠다고 했죠.


하지만 한일 지소미아 종료 6시간 전, 당시 문재인 정부는 ‘종료 유예’라는 걸 발표했습니다. 한일 지소미아 종료하는 것을 유예한다는 것인데요. 취소하는 것을 취소한다는 겁니다.


마치, ‘기쁘지 아니할 수가 없다’와 같은데요. 그냥, ‘우선은 지소미아 연장’이라고 판단한 겁니다. 왜냐면, 미국에서 매우 부정적으로 반응했기 때문이죠. 한미 동맹을 유지해야 하는 우리나라 입장에서, 미국의 눈치를 보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어쨌든 한일 지소미아는 유지됐지만, 문재인 정부에서는 명맥만 유지하는 수준이었습니다. 실질적인 정보 교류가 없었죠. 그런데 윤석열 정부에서 한일 지소미아 정상화를 거론한 겁니다.